2.4.2 두 번째 메뉴, Xcode 프로젝트 생성하기
스위프트 학습용으로 작성하는 코드나 간단한 프로토타이핑 등은 앞에서 실행했던 플레이그라운드 창에서도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실제 앱을 만들 때에는 Xcode 프로젝트를 만들어 진행해야 합니다.
실제로 Xcode 프로젝트를 생성해봅시다. 생성 과정은 몇 단계로 이루어져 있지만 일단 익숙해지고 나면 크게 복잡한 과정은 아닙니다. 프로젝트 생성은 다음 순서로 진행됩니다.
[템플릿 선택] -> [프로젝트 정보 입력] -> [저장 위치 선택] -> [프로젝트 생성]

프로젝트 템플릿 선택 창이 나타나면 창의 상단 영역에서 [iOS]를 선택하고, [Application] 그룹에서 [App] 템플릿을 선택합니다. 선택이 끝나면 <Next> 버튼을 클릭하여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이어서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하는 창이 나타납니다. 프로젝트명(Product Name), 조직명(Organization Name), 조직실별값(Organization Identifier)은 원하는 대로 넣을 수 있지만, Language 항목만큼은 반드시 'Swift'를 선택해 주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프로젝트명을 'MyFirstApp'으로 입력합니다.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했으면 <Next> 버튼을 누릅니다. 프로젝트 저장 위치를 지정하는 창이 나타날 겁니다. 프로젝트 파일을 저장할 적당한 위치를 지정하고 <Create> 버튼을 클릭하세요.

프로젝트가 생성되고 나면 화면에는 프로젝트에 대한 각종 설정 항목들이 표시됩니다. 앱 아이디나 버전, 앱 이름 및 앱이 지원할 iOS 버전, 화면 회전 여부 등 다양한 정보를 수정하고 편집할 수 있죠. 앞으로 자주 등장할 이 화면을 우리는 편의상 '프로젝트 정보창'이라고 부르겠습니다.

Xcode 상단 왼쪽 버튼들 중에서 ►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해 봅니다. 잠깐 기다리면 뭔가 아이폰을 빼닮은 창 하나가 틀텐데요. 이것은 Xcode가 제공하는 가상의 테스트 기기인 '시뮬레이터(Simulator)' 입니다. 이 녀석 덕분에 우리는 디바이스를 직접 연결하지 않고도 앱을 테스트 해볼 수 있죠.
일단 시뮬레이터가 실행되면 프로젝트가 만들어 낸 앱이 자동으로 설치되고, 이어서 실행됩니다. 다만 아직 아무것도 작업하지 않았으니 지금은 잠깐의 로딩 화면을 거친 다음, 빈 화면만 뜰겁니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