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 플레이그라운드 시작하기

현재 책과 다르게 현재의 Xcode 상에서는 [Get Started with a playground] 메뉴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File] 항목에서 Playground 항목을 선택해줍니다.

선택 하면 템플릿을 선택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iOS] -> [Blank] 템플릿을 선택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템플릿으로, 내용이 거의 비어 있으므로 우리가 원하는 코드를 작성해 볼 수 있습니다.
템플릿을 선택한 후 <Next> 버튼을 누르면 파일명과 저장 위치를 지정하는 과정이 이어집니다.
모든 설정을 마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데, 이것이 플레이그라운드의 기본 화면입니다.

실행된 플레이그라운드의 기본 화면은 크게 세 영역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좌측은 에디터 영역으로, 우리가 실제 코드를 입력하거나 편집하는 공간입니다. 코드의 실행 과정이나 값으 변경 단계를 가볍게 보여주기도 합니다. 우측은, 스택 영역으로 에디터 영역에 입력된 코드에 대한 실행 보조 정보를 보여줍니다.
플레이그라운드 하단의 콘솔 영역은 출력할 메시지가 표시되는 공간입니다. 주로 print() 함수나 Log() 구문을 통해 출력되는 정보가 여기에 뿌려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실습에 앞서 플레이그라운드의 역할에 대해 다시한번 상기해 보겠습니다. 플레이그라운드가 하는 역할은 다음 두 가지입니다.
스위프트 코드의 문법 및 원하는 코드의 실행 과정을 확인하기 위해 프로토타이핑하는 역할
스위프트 코드를 위한 각종 문서 및 가이드를 작성하는 역할
플레이그라운드는 iOS 애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툴은 아니며, iOS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플레이그라운드가 아니라 '프로젝트'라고 불리는 파일 그룹 단위가 사용됩니다.
플레이그라운드의 에디터 영역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해 봅시다.
for i in 0...5 {
i
print("출력값은 \(i)입니다")
}
작성이 끝나면 창 하단의 ► 버튼을 클릭하여 실행 결과를 확인합니다.

출력 결과를 확인했다면, 플레이그라운드 오른쪽 영역에 표시되는 (6 times) 메세지 옆의 사각형 아이콘을 클릭해 봅시다. <Show Result> 아이콘이라고 합니다.

이 아이콘은 실행 과정을 보여주는 버튼으로, 콘솔 영역에 보여지는 출력 결과를 제어하는 버튼이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실행 과정을 확인코자 할 때 print() 등의 구문을 통해 값을 출력해봄으로써 변화 단계를 확인하는데, Show Result 아이콘을 사용하면 값을 출력하지 않더라도 변수의 값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스택 영역의 기능 한 가지를 더 확인해 봅시다. 다음 코드를 작성합니다.
import UIKit
let frame = CGRect(x: 100, y: 100, width: 200, height: 100)
let view = UILabel(frame: frame)
view.backgroundColor = UIColor.red
view.textAlignment = .center
view.text = "Hello, World!!"
작성이 끝났다면 이전과 동일하게 마지막 행 번호 위의 실행 버튼을 클릭한 다음, 스택 영역에서 <Show Result> 아이콘을 클릭해 봅시다.

이 밖에도 플레이그라운드를 사용하면 간단한 코드의 작성과 진행 과정, 그리고 값의 변화 및 결과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또한 코딩 레이아웃(Coding Layout)이라고 부르는, 프로그래밍 코드로 사용자 화면을 구성하는 작업에서도 플레이그라운드를 활용하면 이점이 많죠.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