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 변수와 상수를 정의하는 방법

  • 변수를 선언할 때 : var + 변수명

  • 상수를 선언할 때 : let + 상수명

변수를 정의하는 방법입니다.

var year = 1999 // 1. 정수형 변수
var message = "Hello, World" // 2. 문자열 변수

한번 정해진 타입은 바꿀 수 없어서, 정수형 타입의 변수에는 이후로도 정수만 대입할 수 있고, 문자열 타입의 변수에는 문자열만 대입할 수 잇습니다. 스위프트에서 변수의 타입은 대부분 맨 처음에 대입된 값에 따라 정해지고, 이후로는 타입을 변경할 수는 없습니다.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에 처음으로 값을 대입하는 과정을 초기화(Initialize)라고 합니다. 예제에서 본 것처럼, 대입 연산자 '='를 이용하여 이루어지죠. 스위프트는 대부분 초기화 과정에서 변수의 타입이 결정되는데, 이때 활약하는 것이 바로 컴파일러입니다. 컴파일러는 변수에 대입될 값을 검토하여 가장 적절한 타입을 추론하고 그에 맞는 메모리 공간을 확보한 다음, 여기에 값을 저장합니다. 이때부터 우리는 해당 변수를 사용할 수 있게됩니다.

이번에는 상수의 경우를 살펴 봅시다. 상수에서도 큰 차이는 없습니다. 선언 키워드가 var가 아니라 let이라는 점만 다를 뿐이죠.

let birthYear = 1980 // 3. 정수형 상수
let welcomeMessage = "안녕하세요" 4. 문자열 상수

Last updated